일본 중학교 무도교육의 필수화는
이미 2008년에 개정안이 나와서 2012년 완전한 시행을 목표로 진행중입니다.

일본은 일본이 현대사회에서 경제적 문화적인 발전의 원동력으로서
그들의 무(武)적 문화를 중요한 한가지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학교의 무도교육은 메이지유신 이후 서구의 삼육주의(지,덕,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제도의 도입과 함께 보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당시 강도관유도, 대일본무덕회 등의 활동은 무도에 대한 정신,철학을 강화하고 추구하도록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제시대에는 이런 영향으로 학교에서 유술과 격검을 교육하기도 하였습니다.
이 유술과 격검은 후에 유술->유도, 격검->검도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나중에는 학교 교육에서는 빠지지만, 경찰 등의 계층을 중심으로 남겨 되었고, 현재까지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됩니다.

이렇듯 메이지시대 이후로 일본에서는 무도에 대한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져왔습니다만.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무도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나봅니다.
앞서 말했던 것처럼 2008년에 들어서는 신학습지도요령 정비방안이라고 하여
중학교 무도교육 필수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이 중학교 무도교육의 배경에는 최근 "무동기 살인"과 같은 사회병리현상의 심각성에 따라
전통적인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인내심과 평정심을 육성하기 위한 무도교육을 주목하였다고 합니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공립중학교에 무도장을 짓도록 하고 국가에서 금액을 지원합니다.
사립 중학교의 경우 50%의 비용을 지원하고요.
뿐만아니라 이를 위한 지도자의 육성을 위한 금액과 외부지도자 초청을 위한 금액을 지원합니다.

이런 제도와 제도의 시행을 위한 일련의 지원책들은
무예를 좋아하고, 많은 사람들이 무예를 경험하기를 바라는 저같은 사람으로서는
매우 부럽습니다.
일전 우리나라에서 학교에 특기적성교육으로 태권도를 한 과목으로 편성하려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는 학교에서 이런 교육을 실시하게 될 경우 일반 도장의 회원수에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하여 반발이 일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당장 급한 불을 끄는 것밖에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어렸을 때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가보지 않은 어린이는 후에
커서도 미술관과 박물관 등에 잘 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는 무예도 마찬가지 일 것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을 한다고 하면, 헬스, 수영 등을 선택합니다.
무예는 무예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나 하는 특수한 영역으로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을 바꾸기 위해서라고 학교교육에 무예가 포함되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전에 "2009/03/11 - [무예] - 국제무도대학에 다녀왔습니다." 라는 글에서
일본 강도관에 청년에서 노인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수련인이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 말한 적이 있습니다.
일본에서 사람들이 노년까지 지속적으로 무예를 할 수 있는 것은 무예에 대한 인식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런 일본에서 중학교의 무도교육을 필수화하고 있는 것은
일본에서도 무(武)에 대한 인식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되어
씁쓸한 면도 있습니다.

여하튼 필수화하여 무예를 시키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이 무예의 매력을 느껴볼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글을 마칩니다 ^^

덧 - 일본의 무도교육 필수화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검색하다보니... 이를 일본의 우경화나 군국주의와 관련지어서 생각하는 의견도 있더군요.. 하지만 역시 이는 무예를 보는 우리의 인식이 잘못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에휴..

중국무협사(문예 신서 115)
카테고리 취미/스포츠
지은이 진산 (동문선, 1997년)
상세보기


일본에 무사도가 있다면 중국에는 협사정신이 있다.
라는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협사, 무협이라는 말은 무협지를 통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다들 무림에 대한 환상도 한 번쯤 꿈꿔보기도 하셨을 것이고요.
하지만 이 책은 그런 환상속에 세계에 대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중국인의 기저에 깔린 문화가 무엇인가.
중국인들이 자기 정체성을 위해서 만들어진 그런 책 같습니다.

일본의 무사도를 현대에 니토베 이나조 일본의 무사도라는 책을 쓰면서 다시 한번 부흥? 시켰던 것처럼 중국에서도 무협, 협사 정신이란 것을 정리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문화는 상층의 문화인 유교의 문화, 그리고 하층의 대중문화인 협사정신이라는 다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 중국문화의 하층에 존재하고 있는 무협이라는 개념을 역사적인 현실을 통해서 찾아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우 잘 찾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사료 속의 여러 파편들을 무협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잘 엮어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책의 구성은 무협에 대한 기록을 선진시대부터 송나라 때까지 시간적인 순서로 엮고 그 뒤로는 무협에 대한 과거 기록들의 평가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무협소설의 등장에 대해서 그 뒤에 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이 무협정신과 중국의 문화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 안에는 무협과 무사도, 그리고 기사도를 비교해 놓은 장이 있는 데 읽어볼 만 한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무협현상을 중국의 독특한 현상이라 소개하고 있습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에 동의할 것이라 봅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도 무협현상이라고 부를만한 현상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 생각은 바로 이 책을 보면서, 저자가 제시한 예시들을 보면서 든 생각입니다.

초기의 무협현상을 보면 무인들이 신의를 통한 개인적인 관계를 통하여 세력을 이루며 신의를 위해서는 나라의 법도 무시할 수 있는 그런 집단으로 그려집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혈족관계를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주종관계로 능력있는 자들이 권세가에게 몸을 기탁하여 세력을 형성합니다.
신라의 장보고세력도 그러한 세력들 중 하나이죠.
이는 중국의 초기 무협현상과 비슷한 형태라고 보입니다.

또한 중국에서 협사들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던 유협지사라는 용어가 고려사에서도 발견됩니다. 제가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두 용례가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도 무협이 완전하게 있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조선시대에 사병이 혁파되면서 이러한 사적인 조직들은 사라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만.. 게다가 우리나라는 땅이 좁으니 산속에 숨어서 녹림과 같은 조직을 유지하기도 힘들어서 중국만큼 협사들이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무武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는 중국이던 일본이던 우리나라던 다 존재하였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도 그런 정신들을 찾기 위해 좀 더 노력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일본의 무사도, 중국의 무협정신. 우리나라는... 어떤 무예정신이 있었을까요?


위의 링크를 통해 가시면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박정진 교수는 한양대에서 문화인류학을 강의하고 계시다고 하네요
세계일보의 초개 문화부장을 지내셨다고도 합니다.

앞으로 매주 1편씩 무예에 관한 이야기를 연재한다고 합니다.
지난 2월 10일 그 첫번째 이야기인 (1) 영원히 사라질 뻔한 무경 편이 연재되었습니다.

제목에서 보면 짐작하시겠지만 임진왜란이후 조선시대 전체에 걸쳐서 편찬된 무예도보통지와 무예제보, 무예신보 등의 한국의 무예서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문과 대비되는 무(武)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무예를 하는 사람이 아닌 다른 분야의 학자의 눈으로 본 무예이야기는 또한 새로운 느낌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히려 각자의 무예에 얽매여 있는 무예인들보다 자유롭게 글을 쓰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어 앞으로의 연재가 기대가 됩니다^^

무예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한번쯤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