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칼럼 십팔기의 전승계보 중 일부
그러다가 70년대 중반, 일부 중국무술도장들과 합기도인들이 함께해서 <대한쿵후협회>를 만드는 것을 보고, 해범 선생은 십팔기의 보존을 걱정하여 사회단체 <대한십팔기협회>를 설립(76년 결성, 81년 등록)하였다. 이때 선생님을 따르던 약 절반의 중국무술도장들도 함께 대한십팔기협회에 가입했었는데, 이로 인해 중국무술도장에서 쿵후를 익힌 사람들에게도 한동안 대한십팔기협회의 단증이 발급되었었다. 물론 당시까지만해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십팔기를 중국무술로 오인하고 있었기 때문에 쿵후를 익히고도 십팔기단증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다. 이때문에 예전에 쿵후를 익힌 상당수의 사람들이 자신도 십팔기를 했다고 말하게 된 것이다. 모두가 역사의 굴곡과 전통의 단절로 인해 야기된 혼란이었다.

대한십팔기협회와 대한쿵푸협회의 관계에 대해서 의구심을 갖는 사람들이 있다.
위에 십팔기 전승계보라는 글에 나온 당시의 사람들은 십팔기와 쿵푸에 대해서 어떤 구분을 할 필요를 못느꼈을 것이다.

당시에는 협회를 등록하는 것이 어려웠고 같은 종목에 대해서는 여러개의 협회를 내주려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에 따라 대한십팔기협회에 당시 여러 종류의 무술도장들이 함께 단증을 발급하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을 떠돌던 중 풍륜산장님의 블로그의 글을 보고 대한십팔기협회와 대한쿵푸협회의 과거 공존관계는 어떤 모습이었을지 생각해보며 글을 쓴다.

 
5/4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있었던 십팔기보존회의 십팔기 공연

그 중 칼과 창이 겨루는 모습 입니다.

옛부터 무예계의 격언(무언武諺)에 장병단용 단병장용이라고 하여
긴 것은 짧게 쓸 수 있어야 하고 짧은 것은 길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긴 창과 짧은 검이 각각의 특성을 살려 창은 거리를 얻으려 하고 검은 창의 품속으로 파고 들려합니다.

이런 점을 생각하여 영상을 보시면 더욱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시연자 십팔기보존회 시연단장 박권모

선진한국체육연맹(SFOMA) 경기지부 창립총회에 있었던 십팔기 시범공연 중 월도 시범입니다.
월도는 자루에 날을 단 것이 달과 같다고 하여 월도라고 하며 언월도라고도 합니다.
삼국지의 관우와 임진왜란 때의 사명대사가 사용했다고 유명합니다.
본 시범은 무예도보통지에 나와있는 월도보를 기본으로 하여 시범을 위해 몇가지 수를 더한 형태의 투로입니다.



시연자 십팔기보존회원 허대영

선진한국체육연맹(SFOMA) 경기지부 창립총회에서 있었던 십팔기 시범 중 권법 시범입니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려있는 권법은 혼자서 투로를 진행하다가 마지막에는 대련으로 마무리하도록 되어있으나 십팔기보존회에서는 그 외에도
해범 김광석 선생님의 권법요결에서 혼자서 수련할 수 있도록 투로로 완결하여 수련을 합니다.
권법요결 상세보기
김광석 지음 | 동문선 펴냄
권법도서


권법은 실제 전투에서는 쓰이는 무예는 아니지만 병장기를 다루는 데 필요한 활발한 신체를 얻기 위해서 수련하고 직접 몸을 부딪히는 대련을 통해서 담력을 기를 수도 있었습니다.

행사개요
❍ 일       시 : 2008. 6.7(토)~8(일) 09:00 ~ 22:00
❍ 장       소 : 남산골 한옥마을 일원
❍ 주최/주관 : 서울특별시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행사 구성 : 총 6개마당
  - 연희마당 : 단오굿, 평택농악, 동춘서커스, 한국무용, 한복패션쇼, 경기민요, 봉산탈춤, 줄타기, 타악뮤지컬
  - 풍습 마당 : 창포에 머리감기, 창포탕 나누기, 단오장체험, 단오부적   찍기, 봉숭아 물들이기 등
  - 놀이마당 : 씨름 시범, 십팔기시범, 태권도 시범, 그네뛰기시범 및 체험
  - 음식 마당 : 수리취떡만들기,  창포주 시연 및 시식, 제호탕과 오미자화채 나누기, 전통다도시연 및 시음 등
  - 전시 마당: 단오 부채 전시, 야생화전시, 한지공예전시, 궁중머리전시, 닥종이인형전시『옛여름 풍속전』, 설치미술물 전시
  - 축제 마당: 전통등축제, 전통공예체험축제, 단오난전, 추억의 먹거리, 부대행사 등
원문보기


 6월 7일 ~ 8일 까지 남산 한옥마을에서 단오민속축제가 열립니다.
 그 중 7일 한복패션쇼에서 막간을 이용한 십팔기 공연이 있으며
 8일 오후 4시에는 십팔기보존회의 전통무예십팔기 시범공연이 있습니다.
 십팔기 공연이외에도 다양한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축제가 될 것 같습니다.
 자세한 일정은 아래의 이미지에 나와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 하이서울페스티벌 봄축제 궁
그 중 창경궁에서 있었던 전통무예 십팔기 공연 영상입니다.
십팔기보존회 회원과 함께 대한궁술원의 국궁 시범도 함께 있었던 전통의 무예가 한 데 어우러진
멋진 공연이었습니다.

낮달님의 블로그의 원글에서 영상을 옮겨왔습니다.

시연자 : 십팔기 보존회원 허대영

본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서울대학교 전통무예연구회의 2008년 1학기 연구발표회에서의 영상입니다.

곤봉은 무예도보통지에는 2인이 서로 대련하는 형태로 수록되어 있으나
대한십팔기협회의 김광석선생님 저, 조선창봉교정, 동문선, 2002
에서 혼자서 수련할 수 있는 투로의 형태로도 연습합니다.
조선창봉교정 상세보기
김광석 지음 | 동문선 펴냄

위의 조선창봉교정에는 곤봉이외에도 무예도보통지에 실려있는 장병기에 장창, 기창, 당파 등에 대한 실기가 수록되어있습니다.
 
 

  국궁에서는 9계훈이라고 하여 국궁을 배우며, 쏘며, 지켜야할 예절을 9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정심정기(正心正己) 몸을 바르게 함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고
인애덕행(仁愛德行) 어짐과 사랑으로 덕을 행하고
성실겸손(誠實謙遜) 정성스럽고 참되고 실속있게 남에게 나를 낮추어 순하게 대하고
자중절조(自重節操) 자심의 품의를 소중하게 하고 절개와 지조를 굳게 지키고
염직과감(廉直果敢) 곧고 청렴하며 용감하고 결단성을 강하게 가지며
예의엄수(禮儀嚴守) 예의의 절차와 몸가짐을 엄히 지키며
습사무언(習射無言) 활을 쏠 때는 말하지 말며
불원승자(不怨勝者) 나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말 것이고
막만타궁(莫灣他弓) 남의 활을 함부로 당기지 말 것이다.

  이상의 그 궁도 9계훈 혹은 국궁 9계훈이다.
  이 외에도 활을 쏘는 정(亭)에 가보면 정간이라고 하는 정의 상징물에 정에 들고날때 인사를 하는 '정간배례' 등 다양한 풍조들이 있다. 이러한 것들을 통틀어 사풍이라고 하는데 풍(風)이라는 말이 보여주듯이 각각의 정에서 조금씩 그 형태에 차이는 있다. 여튼 하고자 하는 말은 활쏘기를 배우러 가보면 활쏘기의 독특한 문화가 있는 것이다. 이 문화는 활쏘기를 단순한 체육활동 이상의 무언가로 만들어주기도 하지만 국궁이 대중화되지 못하는 하나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여하튼, 활쏘기(射)에 대해서는 옛 경전에서도 말하듯이 좋은 성질을 지닌 전통문화라 하겠다.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활쏘기는 군자의 자세와 같음이 있으니, (활을 쏘아) 정곡을 잃으면 자기 몸에 돌이켜 찾는다." - 중용
仁者如射 射者 正己而後發 發而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
"어진 자는 활쏘기 하는 것과 같으니, 활을 쏘는 자는 자신을 바로잡은 뒤에야 발사하여, 발사한 것이 맞지 않더라도 자신을 이긴자를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서 자신에게서 찾을 뿐이다" - 맹자

'무예 > 국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궁과 양궁의 비교  (0) 2008.08.24
우리나라의 다양한 화살.  (4) 2008.08.12
활쏘기 동영상  (0) 2008.07.25
[영상] 조선의 비밀무기, 편전  (0) 2008.07.21
영집궁시박물관  (0) 2008.06.15

원문보기

5월 4일 경복궁 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있었던 십팔기보존회의 공연 기사입니다.

[포토뉴스]전통무예 십팔기 ‘얍’
 
서울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4일 전통무예 십팔기 보존회 회원들이
무술 시범을 보이고 있다.

<김세구기자>

 

원문보기
---------------------------------------------------------------------

  많은 단체들이 무예도보통지의 무예를 복원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 단체들은 그 무예의 명칭을 십팔기라고 하지 못하고 있다. 십팔기가 전승되고 있었다고 해도 뜻있는 이들이 자신이 알고 있는 무예를 바탕으로 복원을 하는 것에는 문제가 없다. 하지만 복원을 내세우며 전통을 내세우는 이들이 가장 기본적인 명칭에서 조차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박금수, 조선의 공식무예의 명칭 '십팔기'에 대한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46권 제5호, 2007.

  위의 논문에서 말하는 대로 '십팔기'란 조선의 공식무예의 명칭이었다. 복원이냐 전승이냐, 서로를 비난하기 전에 기본적인 명칭부터 명확하게 써야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글에 써있는 전승계보의 진위에 대해서 확인할 수도 없고 부정할 수도 없는 바, 그 실기로써 승부하는 것이 무인의 자세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하는 본문의 일부이다.

십팔기의 전승계보

...... 십팔기가 이 땅에 다시 나타나게 된 것은 해방과 6.25가 한참 지난 69년, 김광석 선생이 우리나라 최초로 십팔기도장을 열면서였다. ..... 해범(海帆) 김광석(金光錫) 선생이 어린 시절, 그의 가족들은 전쟁에 광분하던 일제 말기 세상이 혼란스러워지자 한동안 지리산 골짜기 문암(門岩: 장흥군 위치면, 화순군 도암면, 나주군 다도면의 경계 지역으로 원래부터 마을이 있었던 곳이 아니라서 정식 지명은 아니다. 지금은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이란 곳으로 들어가 살고 있었다
 더불어 그 집안(道家)의 내력으로 인하여 수양에 필요한 여러 가지 공부를 하던 중 양생법과 간단한 무예를 연마하여야 했다. 그 시절에는 그의 집안과 왕래하던 여러 수양하는 지인들이 왜경과 일본군을 피해 그곳으로 숨어 들어왔었다고 한다. 그 사람들 중에는 훗날의 6.25 피난 시절 부산에서 만나게 되는 오공(晤空) 윤명덕(尹明德) 선생도 있었다.

...... 오공 선생의 생존 연대는 정확치 않으나, 해범 선생이 16세 때 부산에서 다시 만났을 무렵 환갑을 넘기셨다고 말씀하신 것으로 미루어 1890년 전후에 태어나신 걸로 짐작된다. 당시 오공 선생은 항상 일본군과 왜경을 피해다녔던 분으로 기억되고 있다.

......(오공선생은) 낮에는 먹고 살기 위해 뛰어다니고, 늦은 밤과 이른 새벽이면 어김없이 해범 선생을 데리고 뒷산(천마산)으로 올라가 무예를 익히게 하였다. 그때마다 오공 선생은 항상 ‘십팔기’를 말씀하셨지만 당시에는《무예도보통지》란 책도 없었으며, 오직 구전심수(口傳心授)로만 무예를 익혔다고 한다. 그곳에서 십팔기를 비롯한 무예 전반에 대한 이론과 실기, 그리고 수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양생법과 한약학을 반강제로 가르치셨던 것이다.

  십팔기 전 종목을 모두 익히지는 못하고 <예도> <본국검> <장창> <장봉> <월도> 등은 이름과 함께 기억하지만, 일부 종목인 <낭선> <죽장창> 등은 무기도 없었을 뿐더러 별도로 익힌 기억도 나지 않는다고 한다. 십팔기 이외에도 검법, 창법, 봉술 등 갖가지 기예와 무예이론들을 가르치고 알려주었으나, 당시의 형편이 여의치 않아 기록으로 남길 수도 없었고, 또 어린 마음이라 귀하게 생각지도 않아서 흘려들은 것도 많았다고 한다.

  훗날 기억하기로 당시 십팔기를 비롯해 포승줄 감아 던지는 것 등을 보여주셨던 것으로 봐서 당신께서 젊은 시절 잠시 구한말 무관을 지냈거나, 무관을 지낸 분으로부터 기예를 배우지 않았나 짐작된다고 하였다. 집안 내력에 대해서는 외가의 먼 친척뻘이 된다고 해서 어렸을 적에는 ‘외삼촌’이라고 편하게 불렀던 기억 밖에 없다고 한다.

.....그리고 수년 동안 지금은 대부분 타계한 여러 무예인들과 왕래하며 서로 교유하였다. 마땅히 수련할 만한 장소가 없어 지인들의 태권도장이나 중국무술도장을 빌려 운동을 하던 해범 선생은 1969년 우리나라 최초로 십팔기도장을 개원하여 후학들에게 무예를 가르치기 시작해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십팔기’란 이름은 오공 선생의 말씀에 따라 붙였는데, 나중에 《무예도보통지》를 구해 보고서야 스승의 가르침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전에 별도로 익히지 않았던 몇가지 장병기예들도 책을 보자 바로 알 수 있었다고 한다.
 서울역 바로 아래에 십팔기도장을 열어 후학들을 가르치기 시작했지만, 당시에는 무예계의 어느 누구도 ‘십팔기’를 우리 무예로 인정해 주지도 않았을 뿐더러 아예 우리 것에 대한 인식조차 없었다. 심지어 중국 무술로 오해하고 무시하기까지 했다. 물론 당시에는 세계적으로 쿵후(工夫)가 광풍처럼 유행하던 터라 대부분 중국무술이 아니면 배우려 들지를 않았다.

..... 그러다가 70년대 중반, 일부 중국무술도장들과 합기도인들이 함께해서 <대한쿵후협회>를 만드는 것을 보고, 해범 선생은 십팔기의 보존을 걱정하여 사회단체 <대한십팔기협회>를 설립(76년 결성, 81년 등록)하였다. 이때 선생님을 따르던 약 절반의 중국무술도장들도 함께 대한십팔기협회에 가입했었는데, 이로 인해 중국무술도장에서 쿵후를 익힌 사람들에게도 한동안 대한십팔기협회의 단증이 발급되었었다. .....이때문에 예전에 쿵후를 익힌 상당수의 사람들이 자신도 십팔기를 했다고 말하게 된 것이다. 모두가 역사의 굴곡과 전통의 단절로 인해 야기된 혼란이었다.

  이후 약 15년 동안 나름대로 ‘십팔기’를 지키고 전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세인들의 잘못된 인식과 무관심을 바꾸기엔 역부족이었던 해범 선생은 1983년 그만 도장 문을 닫고 수양 생활로 접어들어 버렸다. 그리하여 십팔기는 몇몇 제자들이 운영하는 도장에 의해 간신히 명맥을 잇고 있었다. 그러다가 1985년 당시 문화재위원이었던 심우성(沈雨晟) 선생을 만나면서 해범 선생이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된다.

  심우성 선생은 민속학자로서 오래전부터 우리의 전통 춤을 연구하기 위해 전통 무예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출판업자로 하여금 규장각에 있는 《무예도보통지》를 처음으로 영인케 했었다. 그리고 민속답사로 전국 방방곡곡을 다닐 때마다 ‘십팔기’를 하는 사람을 수소문했으나 만나지 못하다가 1985년에서야 우연히 필자와의 인연으로 해범 선생을 만나게 된 것이다.

  십팔기의 전승 계보와 실기를 확인한 그는 해범 선생에게 그 실기를 세상에 공개할 것을 끈질기게 요구하였다. 그렇게 해서 나온 것이 우리나라 최초의 《무예도보통지 실기해제》(심우성 해제, 김광석 실기, 1987, 東文選)라는 책이다. 그리고 그해 12월 20일, 한국민속극연구소 주최로 서울 동숭동의 ‘바탕골 예술관’에서 출판기념회 겸 최초의 십팔기발표회를 공개적으로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부터 우리나라에 비로소 전통 무예에 대한 자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중략.....................

  이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십팔기가 보급되어 오다가 2000년에 들어서면서 비로소 전국적인 전통무예 붐이 일어나게 되었다. 더불어 선생의 저서와 공연을 보고 십팔기를 흉내내는 유사 십팔기 단체들도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심지어 예전에는 십팔기를 중국무술이라며 거들떠보지도 않던 이들조차 십팔기와 《무예도보통지》를 들먹이며 정통성을 주장하기까지에 이르렀다. 분명한 사실은 이 모두가 해범 선생이 일평생 십팔기를 지켜오고 보급한 덕분이다.

.... 후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