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에는 무예에 근본이 되는 권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다음차례는 무예의 기본이 되는 곤봉입니다.
무예도보통지의 책에 써있는 바대로 하면
"곤은 모든 병기를 이용하는 세는 곤법의 외형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입니다.
즉 권법은 무예를 함에 있어서 몸을 움직이는 데이 근본이 되는 것이고
곤봉은 병장기를 익힘에 있어서 그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2번째로 소개하는 기예를 곤봉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참 요즘 보니 이 곤봉을 곤방으로 부르기도 하던데요.
그것은 무예도보통지에 보면 곤봉의 棒자가 당시 음이 방이었다고 표현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현대에는 이 글자를 모두 봉이라 읽으니 곤봉이라고 읽고 써도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곤방보다는... 곤봉이 어감이 좋아서;;;;
일단 무예도보통지의 곤봉편을 보면
다른 편과 마찬가지로 곤봉의 그림이 나옵니다.
헌데 이 그림은 우리가 아는 곤봉의 그림과는 달리 날이 붙어있습니다.
마치 창과 같은 형태이죠. 그것은 곤봉을 군중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작은 날을 달아놓았기 때문입니다. 아마 척계광대에 이르러서 날을 달은 것 같다고 무예도보통지의 저자들은 써놓고 있습니다.
여튼 곤봉의 그 길이가 7척이고 무게는 3근이라고 합니다.
이때 척은 영조척과 주척이 있는데.. 영조척은 30.3cm 주척은 23.1cm 입니다.
어떤 것이 맞는지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목공에는 주로 영조척이 쓰였다고 하는데... 그림의 비율로보면 주척이 더 맞는거 같기도 하고.. 여튼.. 제가 실제 유물을 보지도 못하였고.. 나무로된 봉이 유물로 남아있을 것 같지도 않고.. ㅎㅎ
다음으로 <병장기> 라는 책에 곤봉의 제도에 대한 내용을 적어놓습니다.
그 책에는 곤봉에는 6가지 제도가 있는데 모두 견고하고 무거운 나무로써 만든다고 써놓았다 합니다.
길이 4-5척에 윗부분을 철로 싼 것을 가려봉이라 하고
머리부분에 날을 달고 아래에는 거꾸로된 쌍갈쿠리로 만든 것을 구봉
날은 없고 철조를 단 것을 조자봉
윗부분에대 곧은 침을 심어 이리 어금니처럼 한 것을 낭아봉
봉의 양쪽 끝을 모두 큰것으로 낭아처럼 한것을 저봉
도리깨같은 류는 철연협봉이라 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곤봉은 다른 병장기로 변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기에 더욱 병장기의 기본이라 하였던 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은
권법편에서도 나왔던 것처럼 곤봉과 같은 뜻으로 고전에 전해지는 한자들을 밝히고 있습니다.
수(殳), 정(梃), 그리고 한조의 관명인 집금오의 금오 등이 모두 봉을 뜻하는 글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모원의는 곤과 봉은 같은 것이라 말합니다.
흔히 전하기를 곤은 한쪽끝이 다른 한쪽 끝보다 굵은 것을 곤이라고하고
양쪽의 크기가 같은 것을 봉이라고 한다고 하죠.
하지만 그 용법이 큰 차이가 있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뒤에는 바로 정종유의 <소림권법천종> 중 파곤제1로보 부터 파곤제6로보까지 싣고 있습니다.
이는 모원의의 무비지를 참조하면서 파곤만을 뽑아 넣은 것 같습니다.
이 파곤편은 서로 대련하는 연습법입니다.
실제 무예도보통지의 곤봉편도 그 보는 대련하는 법만 있습니다.
그에따라 소림곤법천종의 내용중에서도 대련부분만 이용한 것 같습니다.
여튼 곤봉하면 역시 소림곤이었던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봅니다.^^
마지막으로 그 내용이 나오는데요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임진왜란때 중국의 장창, 우리나라의 편전, 일본의 조총이 천하에 유명해졌다.
세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장창은 실로 무예중 왕이며 곤 또한 무예중 으뜸이 된다.
곤은 창의 반단(半段)인데 척씨가 날을 덧붙였으니 창과 곤은 표리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병기를 운용하는 신수족의 세는 곤법의 외형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때문에 모원의도 곤을 모든기예의 종법으로 삼았으며 "곤은 소림을 종이라 하고 소림의 설법은 정종유(소림곤법천종의 저자입니다.)의 천종보다 상세한 것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소림곤법천종의 내용을 담았다고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요즘에는 흔히 중국은 창, 우리나라는 활, 일본은 칼 이라고 널리 퍼져있는데요. 임진왜란을 겪은 후의 조선에서는 조총에 호되게 당하기는 한 모양입니다.
일본의 조총을 명시한 것을 보니 말이죠.
이제 그 다음 내용은 실제로 곤봉을 연습하는 그림과 설명입니다.
이 곤봉보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두사람이 대련하는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그 때문에 총보와 총도가 다른 기예와는 표현이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나중에 스캔하던지.. 그림을 따로 올리도록하죠 ㅡㅜ)
어떻게 다른가하면...
곤봉보는 약속대련의 형태인 만큼..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시행합니다.
그래서 곤봉총보는 반복을 끊어서 하나의 작은 총보처럼 새로운 줄에 써넣었습니다.
그림을 싣는 총도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동작은 모두 제거하고 동작이 다른 14가지 경우의 그림만을 표현하였습니다.(글로 쓰니 역시 설명이 안되는 군요.. 빠른 시일내에 원 그림을 올리도록하겠습니다.)
드디어 곤봉총도와 총보의 그림을 올렸습니다..(늦어서 죄송;;;)
여타 기예의 경우와 총도와 총보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으시면
2008/09/09 - [무예/십팔기] - 조선시대 무예교본의 완성판, 무예도보통지
위의 글을 보시면 본국검의 총도와 총보가 나와있습니다. 그것과 비교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8/06/04 - [무예/십팔기] - 십팔기-곤봉(장봉) 영상
위의 글은 곤봉 영상인데요.
이 영상은 대한십팔기협회, 십팔기보존회에서 연습하는 곤봉보입니다.
무예도보통지와는 달리 개인이 연습하는 투로의 형태도 되어있습니다.
물론 무예도보통지의 원보대로도 수련하기도 하지만...
무예도보통지 원보의 곤봉보는 그 내용이 적기도 하고 기본적인 수들이라... 심심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
여튼 이것으로 일단 곤봉편입니다.^^
그럼 다음차례는 무예의 기본이 되는 곤봉입니다.
무예도보통지의 책에 써있는 바대로 하면
"곤은 모든 병기를 이용하는 세는 곤법의 외형을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입니다.
즉 권법은 무예를 함에 있어서 몸을 움직이는 데이 근본이 되는 것이고
곤봉은 병장기를 익힘에 있어서 그 기본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2번째로 소개하는 기예를 곤봉으로 선택하였습니다.
참 요즘 보니 이 곤봉을 곤방으로 부르기도 하던데요.
그것은 무예도보통지에 보면 곤봉의 棒자가 당시 음이 방이었다고 표현되어 있기 때문인데요.
현대에는 이 글자를 모두 봉이라 읽으니 곤봉이라고 읽고 써도 될것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곤방보다는... 곤봉이 어감이 좋아서;;;;
일단 무예도보통지의 곤봉편을 보면
다른 편과 마찬가지로 곤봉의 그림이 나옵니다.
헌데 이 그림은 우리가 아는 곤봉의 그림과는 달리 날이 붙어있습니다.
마치 창과 같은 형태이죠. 그것은 곤봉을 군중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작은 날을 달아놓았기 때문입니다. 아마 척계광대에 이르러서 날을 달은 것 같다고 무예도보통지의 저자들은 써놓고 있습니다.
여튼 곤봉의 그 길이가 7척이고 무게는 3근이라고 합니다.
이때 척은 영조척과 주척이 있는데.. 영조척은 30.3cm 주척은 23.1cm 입니다.
어떤 것이 맞는지 정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목공에는 주로 영조척이 쓰였다고 하는데... 그림의 비율로보면 주척이 더 맞는거 같기도 하고.. 여튼.. 제가 실제 유물을 보지도 못하였고.. 나무로된 봉이 유물로 남아있을 것 같지도 않고.. ㅎㅎ
다음으로 <병장기> 라는 책에 곤봉의 제도에 대한 내용을 적어놓습니다.
그 책에는 곤봉에는 6가지 제도가 있는데 모두 견고하고 무거운 나무로써 만든다고 써놓았다 합니다.
길이 4-5척에 윗부분을 철로 싼 것을 가려봉이라 하고
머리부분에 날을 달고 아래에는 거꾸로된 쌍갈쿠리로 만든 것을 구봉
날은 없고 철조를 단 것을 조자봉
윗부분에대 곧은 침을 심어 이리 어금니처럼 한 것을 낭아봉
봉의 양쪽 끝을 모두 큰것으로 낭아처럼 한것을 저봉
도리깨같은 류는 철연협봉이라 한다고 합니다.
이처럼 곤봉은 다른 병장기로 변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기에 더욱 병장기의 기본이라 하였던 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은
권법편에서도 나왔던 것처럼 곤봉과 같은 뜻으로 고전에 전해지는 한자들을 밝히고 있습니다.
수(殳), 정(梃), 그리고 한조의 관명인 집금오의 금오 등이 모두 봉을 뜻하는 글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모원의는 곤과 봉은 같은 것이라 말합니다.
흔히 전하기를 곤은 한쪽끝이 다른 한쪽 끝보다 굵은 것을 곤이라고하고
양쪽의 크기가 같은 것을 봉이라고 한다고 하죠.
하지만 그 용법이 큰 차이가 있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뒤에는 바로 정종유의 <소림권법천종> 중 파곤제1로보 부터 파곤제6로보까지 싣고 있습니다.
이는 모원의의 무비지를 참조하면서 파곤만을 뽑아 넣은 것 같습니다.
이 파곤편은 서로 대련하는 연습법입니다.
실제 무예도보통지의 곤봉편도 그 보는 대련하는 법만 있습니다.
그에따라 소림곤법천종의 내용중에서도 대련부분만 이용한 것 같습니다.
여튼 곤봉하면 역시 소림곤이었던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였나봅니다.^^
마지막으로 그 내용이 나오는데요
그 내용을 살펴보면
임진왜란때 중국의 장창, 우리나라의 편전, 일본의 조총이 천하에 유명해졌다.
세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장창은 실로 무예중 왕이며 곤 또한 무예중 으뜸이 된다.
곤은 창의 반단(半段)인데 척씨가 날을 덧붙였으니 창과 곤은 표리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병기를 운용하는 신수족의 세는 곤법의 외형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때문에 모원의도 곤을 모든기예의 종법으로 삼았으며 "곤은 소림을 종이라 하고 소림의 설법은 정종유(소림곤법천종의 저자입니다.)의 천종보다 상세한 것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소림곤법천종의 내용을 담았다고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요즘에는 흔히 중국은 창, 우리나라는 활, 일본은 칼 이라고 널리 퍼져있는데요. 임진왜란을 겪은 후의 조선에서는 조총에 호되게 당하기는 한 모양입니다.
일본의 조총을 명시한 것을 보니 말이죠.
이제 그 다음 내용은 실제로 곤봉을 연습하는 그림과 설명입니다.
이 곤봉보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두사람이 대련하는 형식으로 되어있습니다.
그 때문에 총보와 총도가 다른 기예와는 표현이 다르게 되어있습니다.
(
어떻게 다른가하면...
곤봉보는 약속대련의 형태인 만큼..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시행합니다.
그래서 곤봉총보는 반복을 끊어서 하나의 작은 총보처럼 새로운 줄에 써넣었습니다.
그림을 싣는 총도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동작은 모두 제거하고 동작이 다른 14가지 경우의 그림만을 표현하였습니다
드디어 곤봉총도와 총보의 그림을 올렸습니다..(늦어서 죄송;;;)
여타 기예의 경우와 총도와 총보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으시면
2008/09/09 - [무예/십팔기] - 조선시대 무예교본의 완성판, 무예도보통지
위의 글을 보시면 본국검의 총도와 총보가 나와있습니다. 그것과 비교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08/06/04 - [무예/십팔기] - 십팔기-곤봉(장봉) 영상
위의 글은 곤봉 영상인데요.
이 영상은 대한십팔기협회, 십팔기보존회에서 연습하는 곤봉보입니다.
무예도보통지와는 달리 개인이 연습하는 투로의 형태도 되어있습니다.
물론 무예도보통지의 원보대로도 수련하기도 하지만...
무예도보통지 원보의 곤봉보는 그 내용이 적기도 하고 기본적인 수들이라... 심심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
여튼 이것으로 일단 곤봉편입니다.^^
'무예 >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6) - 등패, 낭선 (5) | 2008.11.16 |
---|---|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5) - 당파 (4) | 2008.11.05 |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4) - 기창(旗槍), 기창(騎槍) (2) | 2008.10.22 |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3) - 장창, 죽장창 (4) | 2008.10.10 |
무예도보통지의 십팔기(1) - 권법 (3) | 2008.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