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하는 무예는 등패와 낭선입니다.
낭선으로써 찌르기 종류의 무예는 마지막입니다.
거기에 왜 등패를 같이 소개하는가 하면,
이 등패와 낭선은 진중에서 그 쓰임이 같기 때문입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면, 등패와 낭선은 여러 병장기로 진형을 이루었을 때
수비를 담당하는 병장기였다는 것입니다.
그럼 등패부터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등패는 등나무를 엮어서 만든 방패를 말합니다. 그래서 이름이 등패인 거죠.
그 모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오른 쪽의 등패가 중국의 양식이며 가운데 2개가 조선시대의 양식입니다.
그 차이는 등패의 크기입니다.
무예도보통지에서 말하길 "지금의 제도는 등패의 직경이 3척 7치로 앉아서 은신하기에 부족하다. 마땅히 조금 넓혀서 화식처럼 한다." 고 하였습니다. 주척으로 보면 90센티가 조금 안되는 길이네요.
그리고 손잡이부분을 만드는 방식도 다르다고 하네요.

등패는 요도와 함께 쓰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밑의 그림처럼 말이죠.
요도는 허리에 차는 칼이란 뜻으로 요도라는 명칭에는 특별히 규격이 내포되어 있는 것 같진 않습니다.
본국검, 쌍검 도 모두 요도라고 말하지만 그 길이와 형태는 각각 차이가 있습니다.
여튼 등패의 요도는 본국검이나 제독검 등에 사용하는 요도보다는 짧으며 쌍검보다는 약간 큰 편입니다. 그리고 휘어져 있는 모양이 특징이라 하겠습니다.
하지만;; 무예도보통지의 그림에는 별로 휘어져 보이진 않네요;;;

또한 등패수들은 표창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이 표창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본 닌자들의 표창은 아닙니다.
이 표는 던져서 살상하는 무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로서 그러한 무기들을 표라고 하는 것입니다.
진의 선두에 있다가 적이 다가오면 표창을 던지고 바로 요도를 뽑아 들어서 돌격하였다고 하는군요.
중국과 조선에서 사용한 표창은 그야말로 짧은 창의 형태로 처음 그림의 가장 왼쪽과 같았습니다.

이 등패의 기원은 무예도보통지에서 밝혀놓은 것으로 보면 중국의 남만인 것 같습니다.
그러면 베트남 쪽이 되는 건가요?
여튼.. 삼국지에 보면 등갑병이 나오죠?
그 등갑병의 등도 또한 등나무의 등자입니다.
무예도보통지의 등패편에는 이 등갑을 만드는 법이 또한 기록되어 있습니다.
<圖說>에 이르길 "적등 50근을 석조(돌로만든통)에 넣고 보름동안 침수시켜 건져내어 3일간 햇볕에 말렸다가 다시 석조에 넣고 물을 더 붓는다. 이와 같이 물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한 번 두루 하는데 1년 동안 하여 햇볕에 바짝 말린다. 엮어서 꿰는 법식은 모두 20개로 나누어서 그 곁에는 오동나무 기름을 바르는데 기름을 칠한 그 등갑은 가볍고 견고하여서 능히 화살과 칼날도 막을 수 있다." 라고 기록하고 있네요.
여튼 중국의 기록에서 보면 남방에서 남만이 등패와 표창을 잘 썼다는 기록이 여럿 존재합니다. 그래서 그 기원을 남만이 아니었겠는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등패 총도와 십팔기보존회의 등패 시범 영상입니다.
총도와 비교하면서 보시면 좋은 것 같습니다.

다음은 낭선입니다.
낭선이라는 이름은 정말 생소하실 것 같습니다.
낭선은 대나무의 끝에 날을 달아 사용하는 창으로 그 가지를 9층을 살려서 방어의 기능을 높인 무기입니다. 밑의 그림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낭선의 길이는 장창과 같아서 1장 5척입니다. 약 3미터가 넘는 길이입니다.
그런데 낭선은 왜 그 가지를 그대로 남겨두었을 까요?
그것은 낭선의 가지의 끝에 날을 달아서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낭선은 척계광이 왜군과 상대할 때에 논에서 전투가 있을때 진의 주변에 철질려나 거마목을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이 낭선을 활용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이 가지끝에 붙어 있는 날에는 독약을 발라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등패편에 보면 등패는 반드시 낭선의 아래에 두어야 한다고 써놓았습니다.
낭선을 통하여 등패를 보호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등패는 방패이니 당연히 방어의 목적이 있었다는 것을 알것입니다.
낭선 또한 이처럼 등패를 엄폐하여 등패의 방어력을 극대화하고 또한 낭선자체도 크기를 통하여 진형 전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아래의 영상은 EBS 다큐프라임 영상무예도보통지 1부 무의시대 중 한 장면입니다.
조선시대의 병사들이 진을 이루어 일본군과 접전하는 모습을 재현한 것입니다.

여기에서 보면 앞에 등패와 낭선이 도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등패와 낭선은 진에 선두에서 방어를 담당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입니다.
이런 등패와 낭선의 비호아래 장창과 같은 공격력이 강한 무기로서 적을 제압하였던 것이죠.

이 동영상에는 앞서 설명했던 장창, 당파 또한 등장합니다. 또한 그 외에도 조총과 활쏘기가 등장하여 조선시대의 전법을 단병과 장병을 통틀어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등패, 낭선, 장창(2), 당파> X 2 이런 형태를 원앙진이라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동영상을 통하여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등패와 낭선 편이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