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신문의 문화 연재인 신성대의 무예이야기를 읽다보면
무예란 병장기를 다루는 것을 정의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맨손기술만으로 이루어진 무예는 무예가 아니다라는 과격한 말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그런 연재글 밑에는 어김없이 반론들이 제기된다. 하지만 필자가 보았을 때 그 반론들은 연재글의 내용을 충분히 알지 못한채 감정적으로 비방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맨손무예와 무예의 관계에 대해서 필자가 이해한 바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맨손무예와 무예의 관계는 신성대의 무예이야기(17) 권법이란 무엇인가? 편에서 좀 이해할 수 있게 풀어써져 있는 것 같다.

무예에서는 병장기를 사용하는 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과거의 무예의 개념에서는 분명 명확히 그랬을 것이다. 병장기를 다루는 법을 익히는 것이 무예였을 것이고, 권법은 그 무예를 익히기 위한 기본중에 하나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권법이란 것이 무예로서 가치나 수준이 떨어지느냐 그런것이 아니다. 권법은 병장기를 다루는 무예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이는 즉, 권법을 통해서 배운 신체를 쓰는 원리가 병장기술에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찌르기를 통해서 비교해보자. 궁전보를 취하여 주먹을 지른다는 권법의 동작과, 창 혹은 검을 들고 궁전보로 찌르는 동작. 이 두 동작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가? 다만 손에 들려있는 것만이 다른 뿐 그 움직임의 요체는 같은 것이다. 주먹을 지를때 발을 궁전보로 디디고 땅을 굳건히 지지하며 밀어주는 것처럼 병기를 들고 찌를 때도 이런 몸을 움직이는 원리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단순히 병장기로 사람을 죽일 수 있고, 맨손으로는 사람을 죽일 수 없는가?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닌 것이다. 권법이 즉, 맨손기술이 맨손무예가 무예가 될 수있으려면, 무예체계를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이 무예체계란 병장기술과 맨손기술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기본 원리하에 형성되어있어야하며, 그럴때에만 맨손무예는 무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과거 중국의 무예에서도 언제나 병장기술이 따라다녔다. 소림-곤, 무당-검, 태극권-검, 팔극권-창. 이 처럼 어떠한 무예체계를 가지고 있던 곳에서는 병장기술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현대의 무예에서는 병장기의 가치가 없다고 말하는 이가 있다. 그렇다면 현대의 무예에서는 병장기를 다루지 않아도 되는가? 물론 다루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그 무예체계에서 각 병장기의 특성에 따라 권법을 변화시키면 무예로서의 움직임이 나올 수 있어야 한다. 무예의식이 없는 춤이 되지 않도록

원문보기
'태권도와 택견은 무예가 아니다' 는
인터넷 신문 데일리안에 신성대의 무예이야기라는 연재글의 제목입니다.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태권도는 '전통' 무예가 아니며, 택견은 전통'무예'가 아닌 전통'놀이'이다."
라는 것이다. 물론 태권도의 무예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나 일단 위의 글에서는 태권도에 대해선 전통의 문제를 논하고 있고, 택견에 대해서는 무예성을 논하고 있다.

사실 이 글을 읽기 전엔 태권도가 가라테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이 글을 읽고 주변 친구들에게 그 사실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그 사실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심지어 국사를 전공하는 학생도.

태권도가 우리나라의 국기로서 자리잡고 있고 있는 것에 대해서 큰 불만은 없다.
다만 무예를 하는 사람이라면 무인답게 자신들의 콤플렉스인 전통성에 대해서 인정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역사를 소급해서 삼국시대의 벽화에 기대는 것은 무인으로서 비겁한 것이 아닐까? 그렇게 따지면 우리가 움직이는 모든 활동은 고대의 수렵활동에 기반한 것이 되버릴텐데..

태권도는 전통무예는 아니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국기가 되면서 새롭게 전통을 형성해 나가면 될 것이다. 다만 국기로서 남을 것인가 올림픽 종목으로 즉, 스포츠로 남을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하고 발전방향을 새로 모색하거나, 이원화할 필요는 있지 않을까 한다.

택견의 경우는 무예가 아닌 놀이라고 한다.
이 의견을 보고 글을 읽기 전까진 특별히 생각해보지 않았던 사실들이 떠올랐다.

우리는 복싱이나 레슬링 혹은 K-1과 같은 것을 보고 무예라고 말하진 않는다.
K-1은 이종격투기이니 제외 하더라도, 복싱과 레슬링과 같이 경기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을 무예라고 말하진 않는다.
격투기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격투기와 무예는 여러면에서 비슷하다. 특히 현대에 와서는 그 구분이 모호해진 것 같다.
격투기에서 무예와 비슷한 기술체계가 있고, 공격과 방어라는 기본 의식으로 움직임이 결정된다.
목적에서는 차이가 날 것이다. 격투기는 단순히 승패를 가르는 것이며, 무예는 생명이 걸린 문제이다. 하지만 현대의 입장에서는 그 차이가 의미가 없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격투기와 무예의 차이는 무엇일까?
이것저것 여러가지 생각이 들지만 필자 역시 그 생각들이 정리가 되지 않아 쓰지 않는다.

여튼, 그런 의미에서 필자도 택견은 무예이기 보단 격투기, 즉 단순한 투기 종목이라 하겠다. 같은 논리로 씨름 역시 마찬가지로 전통놀이가 되겠다.
아, 그러고 보니 씨름은 민속놀이군.








6/7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있었던 한복 패션쇼 중 십팔기 공연 영상입니다.



5/4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앞마당에서 있었던 십팔기보존회의 십팔기 공연

중 쌍검의 모습입니다.

쌍검은 두개의 칼로써 공격과 방어를 하며 보통의 칼보다 약간 짧은 칼을 이용

빠르고 날렵함을 특징으로 합니다.

무예도보통지의 원 쌍검 동작을 좀 더 늘려서 시연하고 있습니다.

 
패션쇼 무대에서 펼쳐진 진검승부

기사내용 일부
7일 오후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열린 2008 서울 단오민속축제 중 한복 패션쇼가 펼쳐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8.6.7 남산골 한옥마을 한복패션쇼 십팔기 찬조 공연의 한 장면 입니다.

사진은 창과 칼이 겨루는 창검교전의 한 장면입니다.

패션쇼 중간에 정조대왕의 복장을 한 모델들이 나오기 전 10분간

정조대왕 때에 완성된 무예인 십팔기가 시연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