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무협사(문예 신서 115)
카테고리 취미/스포츠
지은이 진산 (동문선, 1997년)
상세보기


일본에 무사도가 있다면 중국에는 협사정신이 있다.
라는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협사, 무협이라는 말은 무협지를 통해서 많이 들어보셨을 것 입니다.
다들 무림에 대한 환상도 한 번쯤 꿈꿔보기도 하셨을 것이고요.
하지만 이 책은 그런 환상속에 세계에 대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중국인의 기저에 깔린 문화가 무엇인가.
중국인들이 자기 정체성을 위해서 만들어진 그런 책 같습니다.

일본의 무사도를 현대에 니토베 이나조 일본의 무사도라는 책을 쓰면서 다시 한번 부흥? 시켰던 것처럼 중국에서도 무협, 협사 정신이란 것을 정리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문화는 상층의 문화인 유교의 문화, 그리고 하층의 대중문화인 협사정신이라는 다층적인 구조로 이루어져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 중국문화의 하층에 존재하고 있는 무협이라는 개념을 역사적인 현실을 통해서 찾아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매우 잘 찾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사료 속의 여러 파편들을 무협이라는 하나의 주제로 잘 엮어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책의 구성은 무협에 대한 기록을 선진시대부터 송나라 때까지 시간적인 순서로 엮고 그 뒤로는 무협에 대한 과거 기록들의 평가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무협소설의 등장에 대해서 그 뒤에 쓰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이 무협정신과 중국의 문화에 대해서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 안에는 무협과 무사도, 그리고 기사도를 비교해 놓은 장이 있는 데 읽어볼 만 한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무협현상을 중국의 독특한 현상이라 소개하고 있습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에 동의할 것이라 봅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는 우리나라의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도 무협현상이라고 부를만한 현상들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 생각은 바로 이 책을 보면서, 저자가 제시한 예시들을 보면서 든 생각입니다.

초기의 무협현상을 보면 무인들이 신의를 통한 개인적인 관계를 통하여 세력을 이루며 신의를 위해서는 나라의 법도 무시할 수 있는 그런 집단으로 그려집니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혈족관계를 넘어서 새로운 형태의 주종관계로 능력있는 자들이 권세가에게 몸을 기탁하여 세력을 형성합니다.
신라의 장보고세력도 그러한 세력들 중 하나이죠.
이는 중국의 초기 무협현상과 비슷한 형태라고 보입니다.

또한 중국에서 협사들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던 유협지사라는 용어가 고려사에서도 발견됩니다. 제가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두 용례가 비슷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도 무협이 완전하게 있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조선시대에 사병이 혁파되면서 이러한 사적인 조직들은 사라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만.. 게다가 우리나라는 땅이 좁으니 산속에 숨어서 녹림과 같은 조직을 유지하기도 힘들어서 중국만큼 협사들이 살아남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무武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는 중국이던 일본이던 우리나라던 다 존재하였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도 그런 정신들을 찾기 위해 좀 더 노력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일본의 무사도, 중국의 무협정신. 우리나라는... 어떤 무예정신이 있었을까요?

무덕 상세보기
신성대 지음 | 동문선 펴냄
잃어버린 무(武)의 문화와 정신을 살펴보는 책. 조선 왕조 5백 년을 거치는 동안 무와 무예정신에 대한 인식은 결여되어 왔으며, 그동안 우리는 거의 모든 문화를 문(文)의 시각으로만 보고 평가해 왔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역사든, 예술이든, 문학이든, 철학이든 무의 시각으로 보면 세상사가 다르게 보일 수도 있다는 것을 전해주고자 했다. 이 책은 무예란 무엇인지, 무예 문화란 무엇인지, 무예 정신은 무엇인지, 그리고 왜

목차
1. 나라와 무예
2. 무武의 개념과 정의
.....
8. 병장 무예와 개인 무예
9. 전통 무예와 호신술, 그리고 놀이
10. 십팔기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11. 예禮와 무예武藝
12. 화랑 정신과 신라의 삼국통일
13. 무술 무예 무도
.....
19. 십팔기 이전에는 무예가 없었나?
20. 훌륭한 스승을 만나야 제대로 배운다.
.....
25. 무예는 과학이다
......
38. 무의 문화, 문의 문화
40. 禮, 信, 義
.....
48. 승자의 예, 패자의 예
.....
54. 염치를 모른다.
.....
68. 서양의 일곱가지 덕
......
71. 무예의 구성 원리
.....
77. 중국의 무협
78. 십팔기는 동양 3국 최고의 무예 체계이다.
79. 誠, 信, 意
80. 십팔기의 전승계보

부록
후기 : 잃어버린 문화, 내다 버린 문화


저자는 전통무예연구가이자 도서출판 동문선의 대표이다. 1969년부터 해범 김광석 선생에게 십팔기를 사사받았고, 1984년에 동문선을 설립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강사. 국군 전통의장대 지도사범, 전통무예십팔기보존회장, 해범십팔기전수관을 맡아 십팔기와 도가양생공을 가르치고 있다.

------------------------------------------

새로운 시각, 새로운 창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책이다.
저자가 말하는 것처럼 그 동안 우리는 모든 문화를 문의 시각만으로 보고 평가해왔다.
그리고 그에 걸맞는 무武의 문화는 형성하기 못해왔다.
문과 무의 불균형한 상태로 사회가 흘러가면서
우리는 어떠한 가치가 지켜야 하는 가치이고 어떤것이 더 중요한가를 잊고 살아왔다.

무덕은 보수적이다. 무덕은 지켜야만 하는 가치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의 문화는 보수적이지 않다. 무예란 본질을 지키기 위해서 새롭고 좋은 것, 그리고 더욱 합리적인 것을 수용하고 발전시키기 때문이다. 기존의 우리 사회가 물질만능주의로 흘렀던 것은 우리가 무덕을 잊고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문文으로 둘러싸인 사회에서 이 무덕이 말하는 바는 귀 기울일만 하다. 

이 책의 각 장의 내용을 조금씩 수정하고 덧붙여서 저자는 인터넷신문 데일리안 경기에 칼럼으로 올리고 있다. 그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www.dailian.co.kr/area/news/n_list.html?t_name=gg_news&kind=mno&keys=3832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사도란 무엇인가 - 니토베 이나조  (4) 2009.04.03
전쟁 천재들의 전술  (0) 2008.07.29
칼끝에 천하를 춤추게 하다  (0) 2008.07.11
한국의 전통무예 십팔기  (0) 2008.07.04
전쟁으로 보는 한국사  (0) 2008.06.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 동문선학당의 고전 강독회에 나가고 있습니다.
도서 출판 동문선에서 연 것으로 4월부터 시작하였는데, 저는 6월이 되어서야 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읽고 있는 원전은 위에는 '황제갑을경'이라고 하였는데, '침구갑을경교주' 라고 황제갑을경에 주를 달아놓은 책을 교재로 하고 있습니다.

강의는 다만 침구학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배경이 되는 동양의 철학과 역사에 대해서도 강의를 하시고 있어서 딱히 한의학(정확히 말하면 중의학)에 직접 관련있는 사람이 아니라도 강의를 들을 수 있고 부담도 없습니다. 특별히 강의료는 없으며 매일 김밥한줄과 우유를 준비하고, 강의 후에 차 값을 위해서 작은 회비를 걷고 있습니다.

아.. 그리고 위에 나온 강의실이 인원이 많아짐에 따라 비좁아서 현재는 진리관 308호에서 수업을 하고 있으며, 7월 28일부터 8월 25일까지는 진리관 504호인사동길 수도약국 4층에 있는 현 해범 십팔기 전수관에서 강의를 한다고 합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부담없이 참여하였으면 좋겠네요^^.




시연자 십팔기보존회원 허대영

선진한국체육연맹(SFOMA) 경기지부 창립총회에서 있었던 십팔기 시범 중 권법 시범입니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려있는 권법은 혼자서 투로를 진행하다가 마지막에는 대련으로 마무리하도록 되어있으나 십팔기보존회에서는 그 외에도
해범 김광석 선생님의 권법요결에서 혼자서 수련할 수 있도록 투로로 완결하여 수련을 합니다.
권법요결 상세보기
김광석 지음 | 동문선 펴냄
권법도서


권법은 실제 전투에서는 쓰이는 무예는 아니지만 병장기를 다루는 데 필요한 활발한 신체를 얻기 위해서 수련하고 직접 몸을 부딪히는 대련을 통해서 담력을 기를 수도 있었습니다.

시연자 : 십팔기 보존회원 허대영

본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서울대학교 전통무예연구회의 2008년 1학기 연구발표회에서의 영상입니다.

곤봉은 무예도보통지에는 2인이 서로 대련하는 형태로 수록되어 있으나
대한십팔기협회의 김광석선생님 저, 조선창봉교정, 동문선, 2002
에서 혼자서 수련할 수 있는 투로의 형태로도 연습합니다.
조선창봉교정 상세보기
김광석 지음 | 동문선 펴냄

위의 조선창봉교정에는 곤봉이외에도 무예도보통지에 실려있는 장병기에 장창, 기창, 당파 등에 대한 실기가 수록되어있습니다.
 
 

+ Recent posts